[경북기관]경북도, 녹비작물 윤작체계 개발...친환경 유기농업 확대

유기농업연구소, 녹비작물 이용 토양 지력 증진, 생산성 향상 효과 커

기사등록 : 2021.10.21 (목) 02:49:08 최종편집 : 2021.10.21 (목) 02:49:08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확산시키기 위해 화학비료를 대신 할 수 있는 녹비작물 윤작(돌려짓기) 체계를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9-1)네마장황.jpg

일반농업에서 유기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년생 작물은 최소 수확전 3년, 그 외 작물은 파종 재식 전 2년 동안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사용할 수 없다.

(9-2)헤어리베치.jpg

따라서, 유기농업에서 녹비작물을 이용한 윤작 및 토양관리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녹비작물이란 녹색식물의 줄기와 잎을 비료로 사용해 재배한다. 화본과인 수단그라스와 호밀, 두과인 네마장황과 헤어리베치가 있다.
보통 5개월 정도 재배한 후 지상부를 갈아 엎어 녹비로 사용한다.
이번에 개발한 녹비 윤작체계는 여름철 녹비작물로 네마장황, 겨울녹비작물로 헤어리베치를 파종해 재배하는 기술이다.
재배 시 기존 관행토양과 비교해 토양유기물의 양은 40~60% 증가, 작물생육에 필수적인 토양 내 질소와 유효인산의 양은 지속해서 증가했다.
또한, 통기성 및 투수성에 영향을 주는 토양공극률은 5% 정도 증가, 다른 토양 이화학성도 많은 부분이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유기농업연구소 재배팀은 네마장황과 헤어리베치를 재배한 후 토양에 환원하고 고구마를 심어 생산성을 비교해 봤다.
비교 결과, 다른 녹비작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수량이 10~20%정도 증대해 토양생산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란 것을 밝혀냈다.
10월 중순은 동계녹비 파종 적기로 헤어리베치는 10a당 5kg, 호밀은 10a당 16kg을 경운 후 씨앗을 뿌리고 다시 얇게 경운해 덮어주면 된다.
뿌린 씨앗은 겨울에 휴면하고 이듬해 2월 말부터 다시 생육을 시작한다.
신용습 경북농업기술원장은 “유기농업은 환경을 보전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이루기 위해서 반드시 시행돼야 하는 농업이다”라고 전했다.

기사등록 : 경북뉴스라인 / kth0997@hanmail.net

# [경북뉴스라인]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의견
  방문자 의견이 총 0개 등록되어 있습니다.
 
나의 의견 작성하기 *기사에 대한 의견은 실명제를 실시합니다.
 
등록된 방문자들의 의견 입니다.

등록된 방문자 의견이 없습니다.

 
 
검색어 TOP10
2023
6
8
5
s
l
4
1
2018
많이 본 뉴스
[김천]‘2025 연화지 벚꽃 페스..
[김천]국가암관리사업 재가암관..
[성주]‘돌봄 사례관리 대상자..
[김천]‘소상공인 아이보듬 지..
[김천]'2025년 저출생 대응 맞..
[성주]산불 국가위기경보 ‘심..
[군위]'제10차 조선통신사 옛길..
[구미]순천향대 구미병원·구미..
[칠곡]제24호 ‘찾아라! 행복마..
[군위]군위군-대구시교육청, ‘..
[고령]제35회 자랑스런 군민상..
[구미]문화선도산단 공모사업..
[구미]구미시의회 산업건설위원..
[경북도청]‘3대문화권 활성화..
[청송]청송군보건의료원, ‘암..
[경북도청]일본 히로시마현 고..
[경북소방]다목적 소방헬기 ‘..
[김천]김천시 보건소, 4월 1일..
[구미]LG이노텍, 구미에 6,000..
[고령]대형 산불 피해에 따라..
포토 뉴스
이미지 없음
[경북도청]본회 조직국장 경상북도재향군인회 방문
[구미]구미시 민주당, 지금 무엇 하고 있나?
[체육.행사.문화]할매할배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