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기관단체]경북농기원, 과수화상병 백서 제작·배포

최적 대응 방안 제시해 농가 홍보

기사등록 : 2022.01.10 (월) 06:16:28 최종편집 : 2022.01.10 (월) 06:16: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발생한 과수화상병 원인과 전망을 분석해 관련 기관에 최적의 대응방법을 제시하고 농업인에게 홍보하기 위해‘경상북도 과수화상병 백서’를 500부 제작·배포했다고 밝혔다.

(7-1)과수화상병_백서(1).jpg

과수화상병은 사과·배나무가 마치 불에 타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해를 주는 치명적인 세균병으로, 식물방역법상 국가검역 금지병으로 지정돼 있다.
지난해 경북도에서는 안동(6월 4일)에서 과수화상병이 첫 발생한 이후 영주(6월 23일)에서도 발생해 사과 재배농가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백서에는 과수화상병 발생 현황, 발생과정 분석, 역학조사, 공적방제 현황, 최적대응 모델 제시 및 정책 제언 등을 수록했다.
또 발생과 증상 및 생활사 전반을 분석해 과수화상병의 효과적인 방제 방안을 제시했다.
지난해 과수화상병 발생 당시 긴급했던 상황과 현장대응 및 애로사항 등을 일자별로 정리하고 사진과 각종 자료를 함께 수록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과수화상병 발생 후 확진, 확진 후 매몰까지의‘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신속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발생 시 종합대책상황실(시군-도-농촌진흥청) 설치, 운영에 대한 ‘현장대응 최적모델’을 수립해 제시하고 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지난해 과수화상병으로 아픔을 겪고 있는 과수농가들과 현장에서 고생하는 관계공무원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이번 백서를 제작하여 배포한다”라며 “검역병해충의 발생 원인과 대응과정을 분석하고 시행착오를 줄여나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경북도는 지난해 6월 4일 경북 안동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처음 발생한 이후 12농가 7.1ha의 사과 과원을 매몰했으며, 농업인과 공무원,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처로 27일 만에 더 이상 확산되지 않는 성과를 거뒀다.

기사등록 : 경북뉴스라인 / kth0997@hanmail.net

# [경북뉴스라인]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의견
  방문자 의견이 총 0개 등록되어 있습니다.
 
나의 의견 작성하기 *기사에 대한 의견은 실명제를 실시합니다.
 
등록된 방문자들의 의견 입니다.

등록된 방문자 의견이 없습니다.

 
 
검색어 TOP10
4
6
s
8
l
2023
9
2
2011
많이 본 뉴스
[구미]순천향대 구미병원·구미..
[구미]구미시의회 산업건설위원..
[경북도청]‘3대문화권 활성화..
[구미]문화선도산단 공모사업..
[청송]청송군보건의료원, ‘암..
[경북소방]다목적 소방헬기 ‘..
[김천]김천시 보건소, 4월 1일..
[구미]LG이노텍, 구미에 6,000..
[고령]대형 산불 피해에 따라..
[칠곡]전국 최초 쌀 산업 ‘드..
[구미]'스타트업 필드' 입주기..
[경북소방]요양병원·의료시설..
[경북도청]국가1산단, 대한민국..
[청송]대형 산불에 총력 대응…..
[성주]2025년 농어민수당 대상..
[칠곡]칠곡아카데미 첫 강연에..
[김천]‘2025 연화지 벚꽃 페스..
[구미]‘국가 푸드테크 클러스..
[경북도청]이철우 도지사, 야간..
[청송]대형 산불 진화율 89%…..
포토 뉴스
이미지 없음
[경북도청]본회 조직국장 경상북도재향군인회 방문
[구미]구미시 민주당, 지금 무엇 하고 있나?
[체육.행사.문화]할매할배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