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올해 최고장인 선정...숙련기술인 5명

최고기술자로서 후배기술자 양성 및 지역사회 기여 기대

기사등록 : 2022.11.21 (월) 07:50:40 최종편집 : 2022.11.21 (월) 07:50:40      

경상북도는 지난 18일 대구에서 올해 지역 최고장인으로 선정된 5명에 최고장인 인증패를 수여했다.

캡처.JPG

올해 최고장인 선정은 지난 5월 선정계획 공고 후 9개 직종 10명이 신청했으며 서류심사와 현장심사, 9월 21일 최종선정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쳤다.

(1)경상북도_최고장인(왼쪽부터_김인성_배홍직_오창석_박용성_김영진).jpg

공정한 심사를 위해 타 시도의 대학교수와 대한민국명장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해 진행했다.
올해 선정자로는 전기직종 김영진, 이용직종 배홍직, 석공예직종 김인성, 보일러직종 박용성, 금속재료제조직종 오창석씨이다.
지난 2012년부터 선정한 경북도 최고장인은 51명으로 늘어났다.
김영진(58세, 세기리텍)씨는 40년간 전기기술자로 근무하면서 전기기능장, 전기특급감리원 등의 공인 기술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터득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저서 집필, 공정개선, 직무능력표준 개발 등에 공헌하여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배홍직(65세, 보금이용소)씨는 고전클래식, 스퀘어커트 기본기법을 연구해 전국헤어기능경기대회에서 4회 수상했다.
또 2013년에 이용기능장 자격 취득과 구미시 최고장인에 선정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이용사회중앙회 경북도지회장으로서 기술 보급과 이용사의 처우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김인성(63세, 금산석물)씨는 1975년 석가공 견습생으로 출발해 45년간 석공인으로 활동하면서 2006년 전국기능경기대회 금메달 수상,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 대구시 미술대전에 입선했으며, 기능경기대회 지도교사로 후진양성과 숙련기술 발전에 이바지 했다.
박용성(53세, 이앤에스)씨는 33년간 산업현장의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설비 구축과 유지관리를 담당하며 에너지 과소비 시설 개선 등 에너지 절감에 노력하고 있다.
또 사회적 약자의 주거환경개선에 참여하며 숙련기술인의 사회적 인식 개선에도 공헌하고 있다.
오창석(59세, 포스코)씨는 1983년 포스코에 입사 후 제강 및 연속주조 분야의 기술발전에 노력해 2019년 포스코 명장, 2021년 포항시 최고장인에 선정됐다.
또 산업현장교수로서 직무 및 기술지도 특강을 실시하여 제강분야의 후배 기술자 양성에 기여하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고장인은 공예, 건축, 기계 등 전통과 현대기술 전반에서 활동하며 우리 산업발전에 공헌해 왔다”며, “최고장인의 오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후배 기술자 양성과 지역사회 기여를 위해 더욱 노력해 달라” 고 말했다.

기사등록 : 경북뉴스라인 / kth0997@hanmail.net

# [경북뉴스라인]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의견
  방문자 의견이 총 0개 등록되어 있습니다.
 
나의 의견 작성하기 *기사에 대한 의견은 실명제를 실시합니다.
 
등록된 방문자들의 의견 입니다.

등록된 방문자 의견이 없습니다.

 
 
검색어 TOP10
l
1
5
8
4
3
s
6
많이 본 뉴스
[김천]치매보듬마을 어르신 대..
[칠곡]왜관중학교서 '또래상담..
[고령]중소기업 기숙사 임차비..
[성주]첨단 장비 활용한 현장..
[군위]농산물가공 창업보육교육..
[칠곡]‘희망수납기동대’, 독..
[청송]산불 피해 복구 지원대책..
[의성]고향사랑 지정기부사업..
[고령]소상공인 새바람 체인지..
[칠곡]프리미엄 쌀 단지 조성..
[봉화]봉화군보건소, 진단용 방..
[김천]중소기업 운전자금 100억..
[군위]산림지역 출입금지 및 화..
[경북도청]영덕 해안까지 번진..
[구미]산불 국가위기경보 ‘심..
[청송]초대형 산불 피해 농가를..
[김천]2025년 일자리 지원사업..
[경북도청]산불 피해 복구 위한..
[구미]‘도약(Jump-up) 프로그..
[김천]조부모 손자녀 돌봄 사업..
포토 뉴스
이미지 없음
[경북도청]본회 조직국장 경상북도재향군인회 방문
[구미]구미시 민주당, 지금 무엇 하고 있나?
[체육.행사.문화]할매할배의날